반응형 WebProgramming19 SPRING FRAMEWORK - MODEL 2 & SPRING MVC 스프링으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스프링 MVC를 사용해서 진행하게 됩니다. 스프링 MVC는 모델 2 방식 구조를 이용합니다. 최근의 모든 웹 개발은 거의 모델 2 방식을 사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모델 2 방식은 흔히 MVC 구조를 응용한 방식이라고 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화면과 데이터 처리를 분리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델 2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Model : 데이터 혹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View : 결과 화면을 만들어 내는 데 사용하는 자원을 의미합니다. Controller : 웹의 Request를 처리하는 존재로 뷰와 모델 사이의 중간 통신 역할을 합니다. 컨트롤러는 모델 계층과 연동해서 필요한 데.. 2019. 5. 9. spring framework 정리 2 스프링 + MyBatis + Oracle의 설정 스프링을 이용한 개발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는 MyBatis와의 연동 작업을 통해서 SQL 처리에 대한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esentation Layer - UI를 담당하는 구성 요소들이 들어갑니다. 웹인지 모바일 앱인지에 따라서 사용되는 기술이 변경됩니다. Presentation Layer의 경우는 JSP와 같은 뷰(View)를 구성하는 부분과 Controller라는 부분으로 분리되어서 작성됩니다. Business Layer - 서비스 계층이라고도 하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계층입니다. 사용자의 환경이 아닌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구현한 곳입니다. 즉, 비즈니스 계층은 어떤 형태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반환될.. 2019. 5. 8. spring framework 정리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POJO(Plain Old Java Object) 기반의 구성 의존성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을 통한 객체 간의 관계 구성 AOP(Aspect-Oriented-Programming) 지원 편리한 MVC 구조 WAS에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 환경 POJO(Plain Old Java Object) 기반의 구성 스프링의 성격 자체가 가벼운(light-weight) 프레임워크지만, 그 내부에는 객체 간의 관계를 구성할 수 .. 2019. 4. 30.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